“엄마처럼 안될 거야”, 그 명쾌한 대답
강사명 전우경
강의 일시 수요일 1,2교시(오전 9시~오전 10시 45분), 3,4교시(오전 11시~오후 12시 45분)
강의 장소 중앙대학교 교양관 407호

부모 교육에는 여러 분야가 있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예비부모교육’이라 불립니다. 따라서 실제 육아 방법을 가르치기보다는 부모가 되기 전 먼저 자신을 돌아보는, 일종의 자아 탐색이 우선인 셈이죠. 이것이 곧 부모 교육의 시작이기도 하고요. 본 수업에서는 자신의 부모님을 포함한 원 가족과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성찰하여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망을 이해하는 것이 주 내용이자 목표입니다.
누구나 엄마, 아빠와의 관계에서 한 번쯤은 겪어 보았을 이야기를 듣노라면 어느새 “맞아, 맞아.”를 연발하게 되고, 부모를 죽인 패륜아나 영아를 유기한 부모의 사례를 통해서는 그들 내면의 문제를 이해하게 되어 비난보다는 가슴이 저릿해진다. 막연했던 ‘부모’의 개념이 ‘이럴 때는 이렇게 해야지’, ‘이런 행동은 말아야지.’하는 구체적인 다짐으로 변화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한 아이의 부모가 된다는 것은 놀랍고도 엄청난 일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한 번도 부모의 역할에 대해 배우지 않은 채 막연히 닥치면 부모가 되곤 하죠. 그리고 부모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한데도 부모가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게 되면 단순히 개인의 능력 부족으로만 치부해 버려요. 그 결과 여러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또 사회 공적 비용으로 전가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대학생은 한 사람의 성인으로서, 예비 부모로서 미래에 자신에게 부여될 부모의 자격과 역할을 미리 인식하고 배워서 유기적인 가정과 사회를 만들어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사실 우리 대부분은 누구나 부모나 되니까요.
그렇다. 우리는 누구나 부모가 된다. 다만 스무살, 아직 엄마, 아빠로 불리기보다는 엄마, 아빠를 부르는 일이 익숙한 나이이기에 ‘부모가 된다는 것’이 어쩐지 남의 일 같아 무관심해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부모님과 다투고 한번쯤은 “난 절대로 이런 엄마는 되지 않겠다.”라고 다짐했던 적이 있다면 이 수업을 강력히 추천한다. 수업을 통해 자신의 엄마, 아빠를 돌아보고 또 자신이 어떤 딸 혹은 아들이었는지를 떠올리다 보면 그러한 마음이 절로 치유됨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을 들으면서 두 가지를 느꼈어요. 첫째는 부모의 역할이 내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일이구나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이 수업이 어떤 심리학 수업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이에요. 제가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 아동 심리 등 여러 수업을 들어 보았는데, 너무 이론적이었거든요. <부모교육> 강의는 구체적이고도 공감할만한 실제 사례들 위주로 배우기 때문에 더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들을 수 있어요.”
–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07학번 김소원